이는 모두 창건설화와 연관된 직지(直指)의 미화(美化)된 전설에서 유래되고 있지만, 실은 불교 본연의 직지인심(直指人心)을 상징하는 의미로 풀이 될 수 있다. 즉 창건 설화의 직지(直指)와 선가(禪家)의 직지(直指)가 둘이 아니라고 볼 때, 이는 곧 불교의 본질을 나타내는 이름이라 하겠으며, 또한 사명 (寺名)에 불교의 본지(本旨)를 이처럼 극명(克明)하게 나타내는 사찰도 흔치 않으리라 본다.
아도 화상에 의하여 개창된 직지사는 신라시대에 2차에 걸친 중수가 있었다. 그 첫째는 선덕여왕(善德女王) 14년(645) 자장 법사(慈藏法師)에 의한 중수를 들 수 있고, 두번째는 경순왕(敬順王) 4년(930) 천묵 대사 (天默大師)에 의한 2차 중수가 그것이다.
먼저 자장 법사의 중수는 자세한 기록이 없어 잘 알 수 없고, 오히려 경순왕대의 사실이 보다 자세히 전해진다. 아마 이때는 신라의 국운이 쇄진하여 경순왕이 고려에 투항(投降)하기 불과 5년 전의 일이며, 이 시기는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변혁기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직지사 사적에 따르면 이러한 시기에 천묵 대사는 본사를 중수하고, 더 나아가 금자대장경(金字大藏經)을 서사(書寫)하여 신라 조정(朝廷)에 헌상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에 대하여는 현존 유품(現存遺品)이 전해지지 않아 그 내용을 자세히 알 수 없지만, 다음에 언급하게 될 금자대장경비(金字大藏經碑)가 이를 입증(立證)하고 있다. 다만 이제 지난날 직지사의 찬란하였던 사격(寺格)을 밝히면서 신라시대에 이미 금자대장경을 제작하였다는 이 놀라운 사실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우리들은 대장경이라고 하면 해인사(海印寺)의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을 그 대표로 삼아 왔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서 이미 신라시대에, 그것도 금자대장경을 만들었다는 사적기의 내용은 진실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구나 이를 접한 경순왕은 어찰(御札)로써 점제(點題, 經名을 쓰는 것)하였다고 하였으므로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에 대한 현품이 전래되지 않아 그간의 사정을 잘 알 수 없지만, 왕조(王朝)가 바뀐 고려시대 초기에 본사(本寺)에는 금자대장경이 봉안되었고, 또한 대장당비(大藏堂碑)가 건립되고 있다. 즉 고려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직지사의 고승 능여 조사(能如祖師)의 도움으로 후백제(後百濟)와의 불리한 싸움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직지사는 국가적 비호(庇護)를 받았으며, 이후 능여 조사(能如祖師)의 제자들 역시 대대로 본사를 중흥(中興)하더니 광종 원년(光宗元年, 950)에는 3월 1일부터 약 50일 간 법회(法會)를 개설(開設)하여 경찬회(慶讚會)를 성대히 베풀었다.
그런데 이때의 경찬법회는 금자대장경을 다시 필사한 것에 대한 법회인지, 아니면 경순왕이 점제(點題)하였던 금자대장경을 경순왕의 투항 후 신라 조정으로부터 인수하고 대장당(大藏堂)을 건립한 낙성연(落成宴)인지는 자세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지만, 아마도 후자일 가능성이 더욱 짙다. 그것은 신라의 국운이 고려로 이양되는 과도기적 상황과 함께 태조 왕건의 불교신앙과 아울러 능여 조사로 인한 그간의 사정에서 짐작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보다 분명한 것은 금자대장당비(金字大藏堂碑)를 새겨 절을 북정(北亭)에 세웠다는 사적기의 내용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에 대한 물적 근거는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실려 있는 직지사 대장당기비(大藏堂記碑)의 탁본(拓本)이며, 이는 왕우군(王右軍)의 집자(集字)로서 유명하다.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직지사는 제 2대 정종 원년(定宗元年, 1339) 정종의 어태(御胎)를 절의 북봉(北峰)에 봉안함으로써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고, 이로 인하여 조선시대에도 줄곧 사세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 중기에는 사명 대사(四溟大師)가 본사(本寺)에 출가(出家)하여 신묵 대사(信默大師)의 제자가 된 것이 유명하거니와, 이로 인하여 직지사는 배불(排佛)의 그늘 속에서도 사운(寺運)을 유지할 수 있었다. 30세에 직지사 주지(主持)가 된 사명 대사는 이후 임진왜란(任辰倭亂)이 발발(勃發)하자 구국제민(救國濟民)의 선봉(先鋒)에서 큰 공을 세웠음은 너무나 유명하다. 이렇게 구국(救國) 사명 대사의 공로로 인하여 직지사는 조선(朝鮮) 8대가람(八大伽藍)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고,300여 소속사암(寺庵)을 거느리게 되었다.
그리고 직지사의 사세가 가장 흥성했던 시기에는 현재 김천시내 법원이 있는곳을 비롯하여 구화사(九華寺)까지가 직지사의 사유지였으며,뿐만 아니라 상주 통로 우시장(牛市場) 근처의 다리이름이 직지교(直指橋)였고, 그 상류(上流)는 모두 직지사의 영유(領有)였다 하니 그 규모를 가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직지사는 조선시대 말엽 국운의 쇠퇴와 함께 그 사운(寺運)을 같이 하여 한때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다.무엇보다 직지사는 일제시대(日帝時代)사찰령(寺刹令)이 제정되면서 한때 해인사(海印寺)의 말사(末寺)로 전락하기도 하였으나, 광복 이후 50년대에 본산제도(本山制度)가 재편성되면서 본산(本山)으로 승격되어 그 사세를 차츰 회복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국내 25본산(本山) 가운데 하나로서 제8교구(第八敎區) 본사(本寺)이며 소속 말사(末寺) 54개 사찰에 이르고 있다. 관할 구역은 4개시(個市), 1개군(個郡)으로 김천, 구미, 상주, 문경시와 예천군이다. 또한 본사의 산림(山林)은 약 600정보(町步)에 달하며, 사찰 경내 면적만도 약 30,000평에 이른다. 그리고 본사에 소속된 말사 역시 수많은 성보문화재(聖寶文化財)와 고적을 지니고 있다.
이렇게 본사는 역대의 중건(重建), 중수(重修)를 거치면서 천 수백년 법등(法燈)을 이어 오다가 최근(最近) 반세기 동안 창사 이래(創寺以來) 최대의 불사를 일으키어 그 면모가 일신되었으니 이는 오로지 1958년 본사의 주지로 부임한 녹원 화상(綠園和尙)에 의한 중흥불사(中興佛事)의 공덕에 힘입은 바라 할 것이다. 먼저 사찰 주변의 정화(淨化)를 위하여 사유대지(私有垈地) 10,088평과 전답 12,627평, 그리고 임야 3,740평을 매입하였다. 이와 함께 사적기(事蹟記)에 따라 모든 불전(佛殿)과 당우(堂宇)를 중건,중수함은 물론 국제회의와 대법회를 위한 본사 최대의 건물인 만덕전(萬德殿)을 건립하는 한편 4기(基)의 신라시대 고탑(故塔)을 이건(移建)하였으니 이는 창건 이래 최대의 불사(佛事)이며 일대변혁(一大變革)이라 아니할 수 없는 것이다.
이미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특히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이 유명하다.
그렇게 직지사에 도착해서 여행은 시작이 됐다.(오후 1시 10분)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6EF3E4EEC975534)
일단 차를 타고 끝까지 올라와서 찍은 석탑...
![](https://t1.daumcdn.net/cfile/blog/1628B13E4EEC975A1D)
그런데 주변에 아무도 없는 듯...,ㅡ![](https://t1.daumcdn.net/cfile/blog/1138973E4EEC97630E)
이리 저리 한 번 둘러 보는데...
![](https://t1.daumcdn.net/cfile/blog/153D8A3E4EEC976809)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8B53E4EEC976C5E)
![](https://t1.daumcdn.net/cfile/blog/1537563E4EEC97710F)
![](https://t1.daumcdn.net/cfile/blog/132ECE434EEC977501)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C59434EEC977831)
이제 다시 차를 타고 아래로 내려와서 본격적인 직지사 투어는 시작이 되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F63434EEC977C2D)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267434EEC978118)
![](https://t1.daumcdn.net/cfile/blog/191D9B434EEC97840F)
황악산이 널리보이는 직지사...
![](https://t1.daumcdn.net/cfile/blog/202A94434EEC978B05)
눈이 많이 내려 쌓인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1413F8404EEC98BC0B)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732404EEC98C029)
![](https://t1.daumcdn.net/cfile/blog/190C7E404EEC98C512)
직지사로 들어가는 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E60404EEC98C91F)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75B404EEC98CE2B)
![](https://t1.daumcdn.net/cfile/blog/147E8C404EEC98D220)
![](https://t1.daumcdn.net/cfile/blog/200514404EEC98D61B)
![](https://t1.daumcdn.net/cfile/blog/1324FE3D4EEC98DB1E)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3B73D4EEC98DF1E)
추운데 물을 마시고도 서로 장난이 오가는 이종사촌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193AA53D4EEC98E309)
![](https://t1.daumcdn.net/cfile/blog/1123D83D4EEC98E724)
![](https://t1.daumcdn.net/cfile/blog/160D28444EEC9A5913)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C39444EEC9A5E21)
저 앞에 있는 삼층석탑...
![](https://t1.daumcdn.net/cfile/blog/1108AE444EEC9A6317)
![](https://t1.daumcdn.net/cfile/blog/170A1E444EEC9A6815)
![](https://t1.daumcdn.net/cfile/blog/131704444EEC9A6D0A)
![](https://t1.daumcdn.net/cfile/blog/15091E444EEC9A7117)
이제는 직지사 투어 마무리가 되고... 다시 외갓집으로 출발!(오후 2시 25분)
이제 설날의 만남은 끝나고... 외할아버지 생신 때 다시 올 듯하네... |
댓글